[JPA] 요청 응답시 Entity 대신 DTO를 사용해야하는 이유
엔티티가 getter setter를 가지고 있으면 Controller단이 아니라 어디서든 실수로라도 쉽게 속성이 변경될 수가 있다. 또한 DB의 테이블 스키마와 같은 구조이기 때문에 테이블 설계가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요청을 통해 여러 테이블에서 값을 리턴받는다고 생각해보자. DTO를 이용하면 필요한 모든 값들을 하나의 DTO에 담아서 보내줄 수 있으므로 개인적으로 Front단에서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또한 필요 없는 속성은 굳이 안 보내도 되는 장점까지!) 그리고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하는 점은 '순환참조'를 예방할 수 있다. JPA로 개발할 때 양방향 참조된 엔티티를 컨트롤러에서 응답으로 return 하게 되면, 엔티티가 참조하고 있는 객체는 지연..
내 성장기록
2021. 3. 18. 00:48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OsBXw/btqZ0tpF8Ri/PgEojz7sV1R1rntcUKEbOK/img.png)
127.0.0.1 은 루프백 주소, 즉 자기 자신(내 컴퓨터)을 가리키는 주소다. 우리가 보통 특정 웹사이트 방문을 위해 주소를 입력하면(ex. www.acmicpc.net) DNS를 를 통해 IP주소로 변환된다. 하지만 루프백주소를 입력하면 DNS를 통하지 않고 자기자신한테 Redirect 해준다. 내 컴퓨터의 host파일을 확인해보면 이렇게 작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Localhost는 127.0.0.1 로 Redirect 설정 해둔것이다. 주소창에 Localhost:8080을 입력하면 127.0.0.1:8080과 같은 것이다.
내 성장기록
2021. 3. 14. 23:10